본문바로가기

소식

  • 뉴스브라이토닉스이미징, KHF 혁신대상 수상 – PHAROS PET 시스템의 혁신성 인정받아

    브라이토닉스이미징, KHF 혁신대상 수상 – PHAROS PET 시스템의 혁신성 인정받아 국내 의료영상 전문 기업 브라이토닉스이미징(대표이사 이재성)이 지난 10월 2일 2024년 국제 병원 및 헬스테크 박람회(K-HOSPITAL+HEALTH TECH FAIR)에서 PHAROS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시스템으로 KHF 혁신대상을 수상했다. KHF 혁신대상은 보건의료 분야에서 최고의 기술력과 혁신성을 인정받은 제품에 수여되는 상으로, 브라이토닉스이미징의 PHAROS PET 시스템은 그 독보적인 기술력으로 주목받았다. PHAROS PET 시스템은 감마선의 정확한 검출 위치를 3차원적으로 측정하고, 감마선 쌍의 도달 시간을 정확히 계산하여 정밀한 이미지를 제공한다. 또한, 다양한 자세에서 촬영이 가능한 다목적 설계로 뇌뿐만 아니라 유방, 사지 등 다양한 신체 부위에 대한 고해상도 촬영이 가능하다. 이 기술들은 현재 시장에서 가장 혁신적인 방식으로 평가되며,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진단을 가능하게 한다. 브라이토닉스이미징 이재성 대표는 “PHAROS PET 시스템은 의료진에게 보다 정확한 진단 도구를 제공하고, 환자들에게는 더욱 편리한 검사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었다”며, “이번 KHF 혁신대상 수상은 이러한 우리의 노력을 인정받은 결과로 매우 기쁘다”고 소감을 전했다. 브라이토닉스이미징은 이번 수상을 발판으로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현재 미국 FDA 및 유럽 CE 인증을 준비 중이며, 이를 통해 북미 및 유럽 시장에서도 PHAROS PET 시스템의 혁신적인 기술력을 널리 알릴 예정이다. 한편, 국제 병원 및 헬스테크 박람회는 대한병원협회가 주최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의료기기 및 헬스테크 박람회로, 매년 전 세계의 의료 전문가들이 참가해 최신 의료기술과 제품을 선보이는 자리다. KHF 혁신상은 각 분야에서 선도적인 혁신 기술을 보유한 기업에게 수여되며, 혁신상 중 최고의 기술력과 제품 및 서비스 1개 제품에 대해서 혁신대상을 수여하며 올해는 PHAROS PET 시스템이 그 영예를 안았다. <저작권자 ⓒ 약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출처: 브라이토닉스이미징, KHF 혁신대상 수상 – PHAROS PET 시스템의 혁신성 인정받아:약품신문 - https://www.yakpum.co.kr/19023

  • 뉴스국내 헬스케어 전문 기업, 치매 조기 진단 및 치료 위한 원스톱 혁신 플랫폼 구축

    국내 헬스케어 전문 기업, 치매 조기 진단 및 치료 위한 원스톱 혁신 플랫폼 구축국내 헬스케어 전문 기업 7곳이 치매와 경도인지장애(MCI) 극복을 위해 힘을 모았다.이들 기업은 지난 21일 치매 치료의 패러다임을 혁신하기 위한 다자간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새로운 치료제의 등장과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 맞춰 치매 관리를 위한 혁신적인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추진됐다.치매는 전 세계적으로 수천만 명이 고통받고 있는 심각한 건강 문제로, 국내에서도 치매 환자의 연간 총 관리비용이 2021년 기준 18조7000억 원에 달해 GDP의 약 0.91%를 차지하고 있다.환자 1인당 연간 관리비용은 약 2112만 원으로 치매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증가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의 치매 관리 시스템은 인지 저하 시점을 조기에 포착하기보다는, 치매 증상이 많이 진행된 이후에나 치료와 케어가 이루어지는 후행적 접근에 머물러 있다.이번 파트너십은 이러한 후행적 접근 방식을 혁신하기 위해 주관적 인지저하(SCD)와 경도인지장애(MCI)와 같은 초기 단계에서 치매병리를 PET 검사 및 디지털바이오 기술로 진단하고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둔다.참여 헬스케어 기업들은 ▲아밀로이드 항체치료(한국에자이) ▲혈액마커/유전체 검사(랩지노믹스, 피플바이오) ▲PET 영상 솔루션(브라이토닉스이미징) ▲치매 진단용 PET 방사성의약품 개발 및 공급(듀켐바이오) ▲MRI 자동 판독(뉴로핏) ▲건강검진 연계 및 후속 건강 관리(GC케어) ▲온라인 인지기능 검사 및 디지털 치료(이모코그) 등을 포함한 포괄적인 진단 및 치료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치매를 조기에 발견하고, 최적의 치료 방법을 제시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한국에자이의 고홍병 대표이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각 분야의 전문성을 결합하여 치매 치료의 새로운 기준을 세울 것"이라며 "특히 에자이가 제공하는 아밀로이드 항체 치료제를 포함한 통합 솔루션을 통해 초기 단계에서부터 치매를 관리함으로써 환자와 가족들이 겪는 고통을 줄이고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보라매병원 핵의학과 김유경 교수는 "기존 전통적인 의료전달체계는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인지 저하 시점을 제때 발견하기 어렵다"며 "이번 협약을 통해 초기에 위험군을 찾아내고 혈액과 PET 검사 등 정밀검사의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높임으로써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저작권자© 메디게이트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출처 : 메디게이트 뉴스(https://medigatenews.com/news/2216191130)

  • 뉴스[K의료기기 프론티어] 레켐비·키썬라로 커진 치매 시장… 값싼 ‘국산 PET’가 잡는다

    [K의료기기 프론티어] 레켐비·키썬라로 커진 치매 시장… 값싼 ‘국산 PET’가 잡는다이재성 브라이토닉스이미징 대표 인터뷰훨씬 선명하지만 10분의 1 저렴한 국산 PET 장비AI 분석 소프트웨어로 글로벌 진출이재성 브라이토닉스이미징 대표가 22일 오후 서울 성동구 사무실에서 조선비즈와 인터뷰하고 있다. 이 대표 뒤쪽에 있는 장비는 자체 개발한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장비 '파로스'다. 이 대표는 "치매 치료제 레켐비와 키썬라로 새로운 전기를 맞이했다"고 말했다./송복규 기자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치매 논란에 휩싸이며 대선 후보직에서 사퇴했다. 초강대국의 대통령조차도 공식 석상에서 횡설수설하거나 인지력이 떨어진 모습을 보여주며, 어떤 사람이라도 퇴행성 질환 앞에 무기력해질 수 있다는 충격을 줬다. 이렇듯 기대 수명이 늘어나면서 치매는 필수적으로 정복해야 할 질병이 됐다.글로벌 제약사들도 치매 정복에 사활을 걸었다. 미국 바이오젠과 일본 에자이가 공동으로 개발한 레켐비(성분명 레카네맙)가 지난해 7월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받았고, 일라이 릴리가 개발한 키썬라(성분명 도나네맙)가 지난달 2일 FDA 문턱을 넘었다. 레켐비는 지난 5월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았고, 키썬라도 한국 출시를 위한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치매 중 가장 흔한 것은 알츠하이머병이다. 이 병은 뇌 속에 베타 아밀로이드나 타우 같은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뭉쳐지면서 신경세포를 손상시킨다. 최근 개발된 치매 치료제는 이 베타 아밀로이드를 분해해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속도를 늦추는 원리다. 이러한 치매 치료제 개발로 역시 새로운 전기를 맞이한 분야가 있다. 바로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기술이다.PET는 양전자를 방출하는 방사성 의약품을 주입한 사람에게서 나오는 소멸 방사선을 감지하는 장비다. 주로 영상 해상도를 보완하기 위해 컴퓨터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을 함께 사용한다. PET가 있으면 소멸 방사선의 분포를 영상으로 얻어 암과 뇌 질환, 신경계 질환, 심장 질환을 찾아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 PET를 활용하면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축적돼 알츠하이머병이 생긴 것인지, 치료제를 투여한 후 효과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서울대병원 핵의학과 교수인 이재성 브라이토닉스이미징 대표는 22일 오후 서울 성동구 사무실에서 조선비즈를 만나 “레켐비와 키썬라 허가 이후 전 세계적으로 PET를 이용한 치매 검사가 급격히 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대 기술지주회사의 지원을 받아 2016년 창업한 브라이토닉스이미징은 PET 장비와 PET 분석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전임상(소동물)용 PET 장비를 독자적으로 개발하는 업체다.브라이토닉스이미징이 개발한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장비 파로스. 자세에 따라 의자와 검출기 위치를 바꿀 수 있다./브라이토닉스이미징문제는 PET 장비의 가격이다. 소멸 방사선을 감지하는 센서로는 희토류인 루테튬이 사용된다. 루테튬은 매장량 자체가 적어 100g당 1만 달러(약 1300만원)에 거래되는 고가의 물질이다. 장비에 들어가는 원료가 비싸다보니 의료 현장에서 사용되는 PET·CT 장비는 30억~40억원, PET/MRI 장비는 80억~100억원에 이른다.대는 과학이다.브라이토닉스이미징이 개발한 PET 장비 ‘파로스(PHAROS)’는 방사선을 감지하는 부분의 부피를 줄여 가격을 낮췄다. 검출기 부분이 작아 기기 전체 크기도 줄었는데, 기존 PET 장비가 한 대 들어가는 공간에 파로스 여러 대를 놓을 수 있다. 검출기는 작아도 감마선 민감도가 높아 기존 제품보다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파로스의 가격은 기존 장비보다 최대 10분 1 저렴한 10억~15억원 정도다.값싸고, 크기가 작은 PET 장비는 치매 검진과 임상을 하는 의료진에게 꼭 필요한 의료기기다. 특히 미국의 경우 공공의료보험기관(CMS)가 치매 관련 PET 검진에 대해 보장에 제한을 두지 않기로 했다. 시장조사 기관 마켓앤마켓(MarketsandMarkets)은 PET 시장 규모를 2028년 35억 달러(약 4조7000억원)로 추산했다. 이는 2023년(25억 달러)보다 40% 늘어난 규모다.이 대표는 “자체 개발한 파로스는 올해 초 식약처 승인을 받았고 미국은 내년 초, 유럽은 내년 하반기 허가를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며 “치매 치료제 개발로 PET 장비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는 만큼 레켐비를 개발한 에자이와 업무협약을 맺고 치매 진단·치료 연구를 협력하기로 했다”고 말했다.브라이토닉스이미징이 개발한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장비 '파로스'와 독일 지멘스사의 PET 장비의 뇌 스캔을 비교한 모습. 가운데가 파로스, 왼쪽이 지멘스 장비의 뇌 스캔 결과다./브라이토닉스이미징브라이토닉스이미징이 개발한 AI 소프트웨어 ‘BTX브레인’도 해외 진출을 노리고 있다. 이 AI는 PET 영상을 정량화 분석해 뇌 부위별로 베타 아밀로이드와 타우가 얼마나 쌓여 있는지 수치로 나타낸다. 이미 국내 상급종합병원을 포함한 의료기관 30곳에서 사용 중이다. 최근에는 중국 최대 의료기기 기업인 유나이티드이미징에 소프트웨어를 납품하기로 했다. 유나이티드이미징은 중국 외에도 미국과 유럽에 영상진단기기를 판매하는 글로벌 기업이다.이 대표는 “AI 분석 소프트웨어는 미국과 유럽에서 허가를 받은 뒤 유나이티드이미징 의료기기에 탑재해 판매될 계획”이라며 “(브라이토닉스이미징 제품이) 경쟁사와 비교해 PET 검출과 분석에서 성능이 높아 경쟁력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레켐비와 키썬라로 치매 관련 업계에 활력이 생긴 만큼, 브라이토닉스이미징이 빠르게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참고 자료: The Journal of Nuclear Medicine(2023), DOI: https://doi.org/10.2967/jnumed.122.264414<저작권자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출처: [K의료기기 프론티어] 레켐비·키썬라로 커진 치매 시장… 값싼 ‘국산 PET’가 잡는다 - 조선비즈 (chosun.com)

  • 논문Fast and Accurate Amyloid Brain PET Quantification Without MRI Using Deep Neural Networks

    Fast and Accurate Amyloid Brain PET Quantification Without MRI Using Deep Neural NetworksAbstractThis paper proposes a novel method for automatic quantification of amyloid PET using deep learning-based spatial normalization (SN) of PET images, which does not require MRI or CT images of the same patient. The accuracy of the method was evaluated for 3 different amyloid PET radiotracers compared with MRI-parcellation-based PET quantification using FreeSurfer. Methods: A deep neural network model used for the SN of amyloid PET images was trained using 994 multicenter amyloid PET images (367 18F-flutemetamol and 627 18F-florbetaben) and the corresponding 3-dimensional MR images of subjects who had Alzheimer disease or mild cognitive impairment or were cognitively normal. For comparison, PET SN was also conducted using version 12 of the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program (SPM-based SN). The accuracy of deep learning-based and SPM-based SN and SUV ratio quantification relative to the FreeSurfer-based estimation in individual brain spaces was evaluated using 148 other amyloid PET images (64 18F-flutemetamol and 84 18F-florbetaben). Additional external validation was performed using an unseen independent external dataset (30 18F-flutemetamol, 67 18F-florbetaben, and 39 18F-florbetapir). Results: Quantification results using the proposed deep learning-based method showed stronger correlations with the FreeSurfer estimates than SPM-based SN using MRI did. For example, the slope, y-intercept, and R 2 values between SPM and FreeSurfer for the global cortex were 0.869, 0.113, and 0.946, respectively. In contrast, the slope, y-intercept, and R 2 values between the proposed deep learning-based method and FreeSurfer were 1.019, -0.016, and 0.986, respectively. The external validation study also demonstrated better performance for the proposed method without MR images than for SPM with MRI. In most brain regions, the proposed method outperformed SPM SN in terms of linear regression parameters an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Conclusion: We evaluated a novel deep learning-based SN method that allows quantitative analysis of amyloid brain PET images without structural MRI. The quantification results using the proposed method showed a strong correlation with MRI-parcellation-based quantification using FreeSurfer for all clinical amyloid radiotracers. Therefore, the proposed method will be useful for investigating Alzheimer disease and related brain disorders using amyloid PET scans.Keywords: amyloid PET; deep learning; quantification; spatial normalizationJ Nucl Med. 2023 Apr;64(4):659-666. doi: 10.2967/jnumed.122.264414.Link: Fast and Accurate Amyloid Brain PET Quantification Without MRI Using Deep Neural Networks - PubMed (nih.gov)

  • 논문Accurate Automated Quantification of Dopamine Transporter PET Without MRI Using Deep Learning-based Spatial Normalization

    Accurate Automated Quantification of Dopamine Transporter PET Without MRI Using Deep Learning-based Spatial NormalizationPurposeDopamine transporter imaging is crucial for assessing presynaptic dopaminergic neurons in Parkinson’s disease (PD) and related parkinsonian disorders. While 18F-FP-CIT PET offers advantages in spatial resolution and sensitivity over 123I-β-CIT or 123I-FP-CIT SPECT imaging, accurate quantification remains essential. This study presents a novel automatic quantification method for 18F-FP-CIT PET images, utiliz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based robust PET spatial normalization (SN) technology that eliminates the need for anatomical images.MethodsThe proposed SN engine consists of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trained using 213 paired datasets of 18F-FP-CIT PET and 3D structural MRI. Remarkably, only PET images are required as input during inference. A cyclic training strategy enables backward deformation from template to individual space. An additional 89 paired 18F-FP-CIT PET and 3D MRI datasets were used to evaluate the accuracy of striatal activity quantification. MRI-based PET quantification using FIRST software was also conducted for comparison. The proposed method was also validated using 135 external datasets.ResultsThe proposed AI-based method successfully generated spatially normalized 18F-FP-CIT PET images, obviating the need for CT or MRI. The striatal PET activity determined by proposed PET-only method and MRI-based PET quantification using FIRST algorithm were highly correlated, with R2 and slope ranging 0.96–0.99 and 0.98–1.02 in both internal and external datasets.ConclusionOur AI-based SN method enables accurate automatic quantification of striatal activity in 18F-FP-CIT brain PET images without MRI support. This approach holds promise for evaluating presynaptic dopaminergic function in PD and related parkinsonian disorders.Nucl Med Mol Imaging (2024). https://doi.org/10.1007/s13139-024-00869-yLink: Accurate Automated Quantification of Dopamine Transporter PET Without MRI Using Deep Learning-based Spatial Normalization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springer.com)

  • 논문Age and gender effects on striatal dopamine transporter density and cerebral perfusion in individuals with non-degenerative parkinsonism: a dual-ph...

    Age and gender effects on striatal dopamine transporter density and cerebral perfusion in individuals with non-degenerative parkinsonism: a dual-phase 18F-FP-CIT PET studyBackgroundDual-phase fluorine-18 labeled N-3-fluoropropyl-2β-carbomethoxy-3β-(4-iodophenyl) nortropane (18F-FP-CI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scans could be used to support disorders like Parkinson’s disease (PD). Dopamine transporter (DAT) binding and cerebral perfusion are associated with ageing and gender.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ge and gender on non-degenerative parkinsonism, using automated quantification in striatum: specific binding ratios (SBRs) for DAT binding in delayed phase PET (dCIT) and standardized-uptake-value ratios (SUVRs) for cerebral perfusion in early phase PET (eCIT). We also examined the correlations between SBR and SUVR.MethodsThis retrospective study analyzed subjects with dual-phase 18F-FP-CIT PET scans. The eCIT images were acquired immediately post-injection, and dCIT images were taken 120 min later. With Brightonix software, automated quantification of SBRs for dCIT and SUVRs for eCIT were acquired from visually normal scans. The effects of aging and gender were assessed by regressing SBRs and SUVRs on age for both genders. The correlations between SUVRs and SBRs were evaluated.ResultsWe studied 79 subjects (34 males and 45 females). An age-related reduction in SBRs was observed in the dorsal striatum, ventral striatum, caudate nucleus, and putamen for both genders. SUVRs were found to negatively correlate with age in the dorsal striatum, ventral striatum, caudate nucleus, and putamen for males and in the dorsal striatum and caudate nucleus for females.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BRs and SUVRs in the dorsal striatum, ventral striatum, caudate nucleus, and putamen for male and in the dorsal striatum, caudate nucleus, and putamen for females.ConclusionsUsing quantified values from dual-phase 18F-FP-CIT PET with a single injection, we demonstrate a negative impact of age on SBRs (DAT binding) in the striatum for both genders and SUVRs (cerebral perfusion) in the dorsal striatum and caudate nucleus for both genders and in the ventral striatum and putamen for males. Additionally, we found positive associations between SBR and SUVR values in the dorsal striatum, caudate nucleus, and putamen for both genders and in the ventral striatum for males.EJNMMI Research volume 14, Article number: 65 (2024)Link: Age and gender effects on striatal dopamine transporter density and cerebral perfusion in individuals with non-degenerative parkinsonism: a dual-phase 18F-FP-CIT PET study | EJNMMI Research | Full Text (springeropen.com)

1 2 3 4 5  
TOP